노키아 xm5800 을 개통한게 2009년 12월초에 해서 약 6개월 정도 사용하다가 오늘 초기화 했네요.

프로그램을 이거저거 설치했다 지우다 하면서 문제가 생기는건지 아니면 가만히 있어도 문제가 생기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종종 외장메모리로 PC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카드를 건드려서 그런지 외장메모리에 설치한 앱이 실행이 안되는 문제가 생기곤 했었는데 따로 설치한거야 문제가 생기면 삭제 하고 다시 설치 하면 되지만 내장 어플은 포맷말고는 답이 없더군요.

실행안되는 어플이 딱히 사용하던 어플이 아니라서 그냥 두었는데 주말에 오페라 모바일쓰다가 화면전환하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통화기록이 남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초기화 하기로 했습니다.

외장메모리를 전체 그대로 하드에 복사
PC Suite 를 실행시켜서 백업및 동기화
외장 메모리 포맷  : 파일관리자-외장메모리선택-메모리 카드 옵션-포맷 
다이얼러 띄우고 *#7370#  입력하면 초기화 완료!


백업을 전부 복구하면 설정에 문제가 생길지도 몰라서(백업되는걸 보니 이거저거 죄다 설정이 백업되고 있어 보였다)
일정및 메모, 연락처, 즐겨찾기, 메시지 이정도만 복구 하고, 하드에 복사해둔 파일들을 필요한것만 복구 하는 방식으로 복구 하고 필요한 앱설치 하니 앱의 실행속도도 빨라지고 좀 쾌적해진 느낌입니다.

처음 해본 초기화라 시간이 좀 걸렸는데 익숙해지면 30분 내외로 초기화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날씨도 좋아지고 주말에 자전거나 타볼까 하다가 이왕이면 스포츠 트랙커를 사용해보기로 하고, 두어시간정도 무선인터넷에 접속해서 사용하면 얼마나 데이터를 사용할지 궁금해서

지난주말 '시작전에 데이타량 체크하고 타고나서 체크해야지'라고 생각만 하고선 까먹어버렸는데, 출근길에 만지작거리다 통신기록을 살펴보니 잘 기록되어 있더군요.

 

생각보다 데이터 사용량이 많지는 않네요. 지도이미지와 A-GPS 사용량 정도 사용하는듯합니다만.
집근처라 캐쉬되어 있는 지도데이타가 있어서 적었던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전에 사용해볼때는 얼마나 달렸나 꺼내보면 A-GPS를 연결하겠냐고 묻는 창이 떠있어서
자동으로 묻지않고 체크하게 해두었습니다.(위치-위치지정-위치지정서버-위치지정서버사용-자동)

중간 중간 쉬면서 정지시켰다가 다시 시작시키면서 사용했었는데 비교적 궤적을 잘 그려내는군요.

걷기데이터는 좀 부정확하기도 합니다. 구글맵 사용해보신분 들은 아시겠지만 GPS가 점프 하는 현상이죠.

빌린 자전거를 반납하고 집근처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지도가 없는 기록이 지도데이터를 받아서 그런지 사용시간에 비해서 수신량이 많네요.

하루종일 스포츠 트래커를 사용해도 1메가는 안넘어갈것 같네요.

배터리는 만충 상태에서 들고나가서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음악듣고 두어통 통화하고 했는데 밧데리 한칸도 안닳았습니다. 아는분은 110km 정도 GPS만 이용해서 사용했는데 밧데리 문제가 없었다고 하더군요.


요새 날씨 좋으니 주말에 한번쯤 스포츠 트랙커로 기록을 남겨보세요.
텍스트 문서를 5800에 메모장에 넣는 방법이 없을까? 하다가
블루투스로 전송이 될것같아서 테스트 해봤는데 잘되네요. 과정을 정리해봅니다.


저장할 텍스트 문서를 생성합니다. 웹에서 적당한 기사 대충 Ctrl+C,Ctrl+V


파일을 선택하고 팝업메뉴에서 블루투스로 보내기를 합니다.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저는 5800과 싱크한적이 있어서 바로 클릭하면됩니다. 혹시나 없다면 다음을 누르면 주변에 블투되는 모든 장비가 나열됩니다. 거기서 선택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시도 하시면됩니다.

마법사가 뭔가 알아서 뚝딱뚝딱 하는 팝업창이 생겼다 사라집니다.

폰으로 메시지가 왔네요

방금 보낸 텍스트 문서가 메시지 형태로 들어와 있습니다.

옵션에서 저장을 누르면 메모장으로 저장됩니다.


짜잔~ 이렇게 가져오면 되는군요 움홧홧!

바로 위의 화면의 옵션에서 전송을 선택하면 해당 메모가 PC로 전송됩니다.
PBTweet+ 로 검색을 하시면 구글 크롬에 적용하는 방법은 많이 나오네요.
웬만한 브라우져는 다 사용가능합니다.

저는 파이어폭스가 메인으로 사용하는 브라우져라 여기에 필요한 애드온을 추가해서 트위터할때 사용합니다.

PBTweet+MonkeyFly 입니다.

MonkeyFly는 그리스몽키 스크립트도 지원하지만 자체 애드온도 지원하는군요

설치하고 나면 트위터하는 재미가 두배가 됩니다.


1. 그리스몽키 애드온을 추가합니다.

2. PBTweet+  에서 Install:FireFox 에설명된것처럼 스크립트 사이트에 접속해서 Install을 클릭합니다.

3. MonkeyFly 에접속해서 같은 방식으로 스크립트를 Install 합니다.

4. 트위터에 접속하면 화면이 짜잔~ 하고 변신합니다.

5. 몽키 플라이의 단축키를 익히게되면 트윗질이 편리해집니다.
  



'지식창고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Drive 업데이트 1.0.8.16  (0) 2010.06.07
오늘 하루 크롬을 사용중입니다.  (0) 2010.05.26
TRAC VS REDMINE  (0) 2010.04.02
포인터의 포인터  (0) 2010.04.02
redmine 업데이트  (0) 2010.03.15
trac을 도입하려고 visualsvn을 이용해서 설치 해보고 이리 저리 셋팅을 해봤는데

설치 과정이 복잡한데다가  프로젝트별로 각각 만들어야 한다고 해서 나중에 써보자..그러고 넘겼는데

redmine을 설치 해보는게

쉽게 설치가 된다. (물론 trac에 비해서 쉽단 뜻이다.ㅡ.ㅡ;;)


게다가 한번 깔아서 프로젝트 여러개 관리가 된다.

테스트 해보자고 설치했다가 그상태로 쭈욱 사용중입니다.


처음 도입하려고 고민중이시라면 주저없이 redmine을 권하고 싶습니다. 

svn이 없이 redmine 그자체로도 사용하기 좋습니다.


View에서 MainFrame에 있는 다이얼로그바의 포인터가 필요했는데,

보통은 #include "MainFrm.h" 를 하고선
그냥 참조를 할텐데 View를 DLL로 빼놓다 보니 좀 복잡하게 되어서

어떻게 하면 포인터를 가져올까...고민하다 SendMessage로 포인터를 가져오지뭐...했는데

오랜만에 포인터의 포인터를 하느라 잠시 버벅..ㅎㅎ

View의 OnInitialUpdate 에서

CDlgBar* m_pDlgBar;
CWnd *pWnd = AfxGetMainWnd();
pWnd->SendMessage(WM_USER_COMMAND,NULL,(LPARAM)&m_pDlgBar);

MainFrame에서

CDlgBar** pBar = (CDlgBar**)lParam;
*pBar = &m_wndDlgBar;



업데이트가 되었을것 같아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다.

http://www.redmine.org/wiki/1/RedmineUpgrade

이대로 진행하면 별문제 없이 진행된다.

svn update를 하고

database를 업데이트 하는데 에러가 난다

살펴보니  현재 trunk는 rails 2.3.5 버전을 필요로 한다.
gem install rails -v=2.3.5
그런데도 에러가 난다. 자세히 살펴보니 PDF에서 한글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버그가 있는 그 파일이다.
소스가 엉킨듯해서 해당 파일들을 삭제하고 다시 svn update

이번엔 db update가 문제없이 된다.


몇가기 기능이 추가된것 같고
pdf 출력시 한글이 정상 출력된다.
2008서버에는 IIS7이 탑재 되어 있는데 기본 FTP는 2003서버에서 사용하던 FTP 서비스가 동작한다.

http://learn.iis.net/page.aspx/309/configuring-ftp-firewall-settings/

위의 링크에서 FTP 7.5를 다운받아 설정해주면

기본적인 21번 포트에 대해서는 방화벽에 예외처리가 되는데

다른 포트로 FTP를 설정하면

패시브 포트 범위를 윈도우 자체 방화벽에 등록시켜줘야 한다.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dd421710(WS.10).aspx

위의 링크대로 설정하면 일일이 등록하지 않고도 방화벽에 예외 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수년간 모네타 미니 가계부만 사용을 해오다가 iCashhouse 알게되면서 병행 사용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모네타가 개편하면서 불편해져서[각주:1] 네이버가계부로 이사를 왔는데 두달가량 쓰다보니 불편한점이 있어서 적어본다.

내경우 25일을 기준으로 가계부가 새로 시작되는데
23일에 사용했으나 까먹고 기입하지 못한것을 25일에 기입하면 그 내역이 전월 이월에 반영되지 않는다.

여기까지는 사용하던 모네타 가계부도 그러했으니 넘어가줄 수 있다.

수동으로 전월이월 내역을 수정하면되는데 문제는 24일까지의 이월금액이 얼마인지 조회해볼 화면이 없다.  모네타 가계부의 경우 매일 매일 날짜별로 잔액을 표기해주어서 달력상에서 클릭후 조회된 금액을 수동기입하면 문제가 없었던 부분이였다.

24일의잔액

25일의 잔액



네이버 가계부와 다음의 가계부중 네이버 가계부를 선택하게된 결정적인 기능이 사용하는 카드를 선택하기만 하면 결재일별로 자동으로 사용기간별로 합산을 해주는 기능이였다.

사용하는 카드를 선택한후 결재일을 지정하면 자동 합산해준다.


결재일 이전에 미리 카드별로 결재 예정금액을 뽑아주기때문에 현재 내가 소지한 현금중 결재로 빠져나갈 금액을 제외하고 얼마의 현금이 사용가능한지 파악할 수 있어서 아주 유용하지만 내경우엔 빠져나갈 금액을 따로 관리를 하고 있어서, 현재 내가 소지한 잔액이 얼마인지 알고 싶은데 따로 계산을 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어서 불편하다.

오늘날짜는 25일인데 결제예정금액을 카드대금으로 잡아놔서 실제 내가 가진 현금잔액이 얼마인지 파악할 수가 없다.



유용해보였던 카드별 결재예정금액을 빼주는 기능이  불편하게 느껴졌다.


아이캐시하우스의 복식 가계부는 적응이되면 전체적인 자산관리가 되기 때문에 너무 좋은 가계부이다. 자산의 흐름을 파악 할 수 있어서 좋은 가계부이다.

한가지 단점은 이번달 들어온 급여대비 손익 파악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각주:2] 이 부분 때문에 엑셀에 따로 저축, 보험, 카드결재금액 등등을 제외하고 이달에 지출 가능한 금액을 정리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미리 빠져나갈 금액을 정리해두면 분명 급여날이고 통장에 잔고는 두둑하지만 가용잔고가 마이너스 일때도 종종 있다. 그런달은 허리띠를 졸라맬 수 있어서 지출 관리에 유용하다.



  1. 지금보니 기존서비스는 계속유지하고, 신규 서비스를 베타런칭한것 같다 [본문으로]
  2. 100만원급여에 50만원 사용하고 50만원 저축한경우 실제 내손엔 0 원이지만 복식부기상으론 50만원이 남아 있어서 지출 규모를 정하기 힘들다 [본문으로]
텍스트 큐브에 포스팅한 글을 트위터로 보내기 위해서 friendfeed로 설정을 해두었는데

어랏? 어느날보니 포스팅한게 트위터로 안가있는것이다..

아마도 일정기간 friendfeed로 로그인 하지 않으면 기능이 정지 하지 않는게 아닌가 싶다.

훔...주기적으로 로그인 해줘야 하나..


그사이 전에 설정했던 화면에서 뭔가 미묘하게 변경이 되어 있다.

혹시 그래서 그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