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에서 사용하는  cyberoam 장비에 로그 기록을 위해서 syslog 서버를 설정하다보니 로그파일은 간단히 설정이 되는데  로그파일을 볼려니까 답답해서 검색해보니 iview라는것이 있다.


syslog 서버 설정은 원상 복구하고 아래의 방법대로 iview를 설치



여러 장비들을 지원한다.


http://www.cyberoam-iview.org/


http://sourceforge.net/projects/cyberoam-iview/


일단 설치 파일을 다운받자


http://sourceforge.net/projects/cyberoam-iview/files/iVew-Beta/


도움말 문서도 한번 일단 읽어보자


Cyberoam iView Linux Installation Guide.pdf



설치에 필요한 조건은 postgrsql 8.4 와 java 1.5 이상.


centos 5.9에는 8.1이 설치된다.


yum remove postgresql

yum install postgresql84-server


service postgresql start

초기화 하라고 나온다 하란대로 하고 다시 시작 시킨다.


iView 설치본에서 postgresql-8.4 를 찾는다. 만들어주자


cd /etc/init.d

cp postgresql postgresql-8.4


다운받은 iView***.bin 파일에 실행권한을 주고 실행 - pdf에 나와 있다.




캡쳐 화면에는 /var/iview 에 설치 하라고 나오는데 나는 다른 경로에 설치했다.

jvm 의 경로는 /usr/lib/jvm 에서 확인!


/usr/local/iview
/usr/local/iview/archive
/var/lib/pgsql
/usr/lib/jvm/jre-1.6.0-openjdk


정상적으로 완료가 되면 서비스를 구동하자

service iviewd restart


iview서버:8000 으로 접속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나온다.


이것 저것 눌러보다보면 장비가 검색되었다고 나온다. 혹시 안나오면 system 설정에서 장비 지정을 하면 될 것같다.


10분쯤 지나니까 로그데이터가 올라온다. 좀더 상세한 리포트 인데 내가 찾아보기에는 충분히 상세하다.

'지식창고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 Center 사용자 스크립트  (0) 2013.07.30
rapidjson , jsoncpp 테스트  (0) 2013.06.25
redmine 2.3.1 업그레이드 - pg error 발생  (0) 2013.05.02
크롬 마우스 제스처 확장  (0) 2013.04.29
redmine 업그레이드  (0) 2012.10.31

테스트 해볼것이 있어서 그누 보드를 설치 하는데 몇가지 문제가 발생해서 해결 방법을 정리함


CentOS 6.4 + powerstack APM


  • php short open tag 문제 

    옵션을 켜도 되지만  옵션을 켜지 않고 수정함

    <?     → <?php
    <?=    → <?php echo
    자동 변환 스크립트 몇개를 적용해보았으나 실패!

    https://gist.github.com/jankkhvej/1117678

    이것으로 성공
    계정으로 스크립트 다운로드 -> shellcommand.sh 의 경로를 변환하려는 소스 경로로 맞춤
    shellcommand.sh에 실행권한 부여 - chmod +x shellcommand.sh

  • sql mode 문제

    설치시에 관리자 계정 정보가 입력이 안되고 게시판 그룹 생성도 안되는 문제

    검색해보면 mysql 에 기본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간단히 소스에 한줄 넣으면 해결됨

    common.php 258줄
    $connect_db = sql_connect($mysql_host, $mysql_user, $mysql_password);
    @mysql_query("SET sql_mode = 'HIGH_NOT_PRECEDENCE';");  //추가

    설치시에는
    install_db.php 36번째 mysql_connect 성공 뒷줄에 추가

    참고 링크 :
    http://blog.daum.net/ippo22/16135422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g4_qa&wr_id=174916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cha touch 2.2.1  (0) 2013.09.12
C++ REST SDK  (0) 2013.08.29
VHD 생성 스크립트 Convert-WindowsImage  (0) 2012.11.19
스프링노트 백업 방법  (2) 2012.10.10
소니 아크 업데이트 방법  (0) 2012.06.04

CentOS 6.4에  APM을 컴파일 설치를 해야 했다.


apache 2.4.4

PHP : 5.4.15

Mysql : 5.6.11


아파치를 yum으로 설치 해도 된다면 php와 mysql은 IUS Community Repo 를 설치 하면


php 와 mysql은 비교적 최근 버전으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다. - php 5.4.14, mysql 5.5.31


하지만 아파치 2.4 버전은 컴파일 말고는 방법을 찾을 수가 없었다.



CentOS 6.4는 minimal 버전으로 설치를 하고 진행을 하였다.

개발툴은 일단 설치를 하고 시작하자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mysql은 rpm을 다운받아서 설치가 가능하다. 컴파일 안해도 되면 하지 않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How to Install MySQL 5.6 on CentOS 6.3/RedHat EL6/Fedora


5.1.6  라이브러리를 삭제해야 설치하면서 문제가 없다.


yum remove mysql-libs


이과정에서 crontabs가 삭제되니 mysql 설치 완료후 재 설치를 해야한다.


PHP컴파일 할때 필요한 mysql-devel 패키지도 설치를 해야한다.



PowerStack 을 사용하자 정신건강에 매우 이롭다. 아파치 2.4를 고집하지 않으면 편하다.

httpd 2.2.4 php 5.4.15, mysql 5.6.11


http://wiki.powerstack.org/PowerStack


하지만 나는 2.4가 필요하자나?  아마 삽질할꺼야..


아파치와 php는 컴파일을 해야한다.


기존 라이브러리 제거, 필요한 라이브러리 추가

yum remove apr apr-util
yum -y install pcre-devel openssl openssl-devel  gdbm-devel gmp-devel readline-devel libxml2-devel bzip2-devel


모든 소스는 /usr/local/src에 다운받는다.


아파치 2.4.4를 위한 준비 다운받고 박스안의 명령어만 ctrl+c & ctrl-v 해주면 된다.


Apr-1.4.6

Apr-Util-1.5.2


본격적인 아파치 설치


Apache-2.4.4


다른 문서를 검색해보고 컴파일 해보면 /usr/local/apach2 이런식으로 설치가 되는데 위의 문서처럼 레이아웃을 패치하면 yum으로 설치 한것과 비슷하게 인스톨 해줘서 편리하다.


BLFS Boot Scripts 을 설치하면 service httpd start 이렇게 사용가능하다.


make install-httpd


lsb를 설치 해야 에러가 나지 않는다.

yum install lsb


service httpd status 는 statusproc가 없다고 에러메시지가 나오는데 해결방법을 못찾았다.


아파치를 구동하고 테스트를 해본후 이상이 없으면 아파치 정지!!


PHP를 설치 하자.


PHP-5.4.11


문서는 5.4.11 이고 현재 stable 버전은 5.4.15이다. 버전 숫자만 수정해주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PHP 연동 가능하게 설정을 하고 아파치를 재시작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아파치의 mpm모드 때문이다.


/etc/httpd/httpd.conf 파일을 열어서 event 모듈을 prefork 모듈로 변경한다.


#LoadModule mpm_event_module /usr/lib/httpd/modules/mod_mpm_event.so
LoadModule mpm_prefork_module /usr/lib/httpd/modules/mod_mpm_prefork.so


모듈 마지막줄에 자동 추가된 libphp5.so의 경로를 확인한다.

LoadModule php5_module /usr/lib/httpd/modules/libphp5.so



설치 완료!


고맙다 Beyond Linux® From Scratch 

이렇게 완벽한 문서는 처음이다.



ps. php에서 ip로는 접속이 되는데 localhost로는 안된다.

mysql으로 powerstack으로 재설치 -> 안된다. php 컴파일 새로 해야할듯


성공한 PHP 컴파일 옵션 powerstack의 옵션을 약간 수정했다.

mysql에서 문제가 없으며 /etc/php.d에서 추가 옵션을 로딩한다.

./configure --host=x86_64-redhat-linux-gnu \
        --build=x86_64-redhat-linux-gnu \
        --program-prefix= \
        --prefix=/usr \
        --exec-prefix=/usr \
        --bindir=/usr/bin \
        --sbindir=/usr/sbin \
        --sysconfdir=/etc \
        --datadir=/usr/share \
        --includedir=/usr/include \
        --libdir=/usr/lib64 \
        --libexecdir=/usr/libexec \
        --localstatedir=/var \
        --sharedstatedir=/var/lib \
        --mandir=/usr/share/man \
        --infodir=/usr/share/info \
        --cache-file=../config.cache \
        --with-libdir=lib64 \
        --with-config-file-path=/etc \
        --with-config-file-scan-dir=/etc/php.d \
        --disable-debug \
        --with-pic \
        --disable-rpath \
        --without-pear \
        --with-bz2 \
        --with-exec-dir=/usr/bin \
        --with-freetype-dir=/usr \
        --with-png-dir=/usr \
        --with-xpm-dir=/usr \
        --enable-gd-native-ttf \
        --without-gdbm \
        --with-gettext \
        --with-gmp \
        --with-iconv \
        --with-jpeg-dir=/usr \
        --with-openssl \
        --with-pcre-regex=/usr \
        --with-zlib \
        --with-layout=GNU \
        --with-mysql \
        --with-pdo-mysql \
        --with-pdo-sqlite \
        --enable-exif \
        --enable-ftp \
        --enable-magic-quotes \
        --enable-sockets \
        --with-kerberos \
        --enable-ucd-snmp-hack \
        --enable-shmop \
        --enable-calendar \
        --enable-mbstring \
        --without-sqlite \
        --with-libxml-dir=/usr \
        --enable-xml \
        --with-system-tzdata \
        --with-apxs2=/usr/bin/apxs \
        --without-gd \
        --disable-dom \
        --disable-dba \
        --without-unixODBC \
        --without-pspell \
        --disable-wddx \
        --without-curl






redmine 2.3.1로 업그레이드 진행 (rev 11759)



svn up -r11759

bundle install --without development test postgresql sqlite


bundle update를 진행하라는 메시지


그러나 bundle update를 하면 postgresql 버전이 낮아서 pg를 설치 할 수 없다는 메시지


나는 postgresql 안쓰는데..ㅡ.ㅡ;;;


Gemfile을 열어보니


# Include database gems for the adapters found in the database
# configuration file
require 'erb'
require 'yaml'
database_file = File.join(File.dirname(__FILE__), "config/database.yml")
if File.exist?(database_file)
  database_config = YAML::load(ERB.new(IO.read(database_file)).result)
  adapters = database_config.values.map {|c| c['adapter']}.compact.uniq
  if adapters.any?
    adapters.each do |adapter|
      case adapter
      when 'mysql2'
        gem "mysql2", "~> 0.3.11", :platforms => [:mri, :mingw]
        gem "activerecord-jdbcmysql-adapter", :platforms => :jruby
      when 'mysql'
        gem "mysql", "~> 2.8.1", :platforms => [:mri, :mingw]
        gem "activerecord-jdbcmysql-adapter", :platforms => :jruby
      when /postgresql/
        gem "pg", ">= 0.11.0", :platforms => [:mri, :mingw]
        gem "activerecord-jdbcpostgresql-adapter", :platforms => :jruby
      when /sqlite3/
        gem "sqlite3", :platforms => [:mri, :mingw]
        gem "activerecord-jdbcsqlite3-adapter", :platforms => :jruby
      when /sqlserver/
        gem "tiny_tds", "~> 0.5.1", :platforms => [:mri, :mingw]
        gem "activerecord-sqlserver-adapter", :platforms => [:mri, :mingw]
      else
        warn("Unknown database adapter `#{adapter}` found in config/database.yml, use Gemfile.local to load your own database gems")
      end
    end
  else
    warn("No adapter found in config/database.yml, please configure it first")
  end
else
  warn("Please configure your config/database.yml first")
end


설마...저것 때문에???


database.yml 파일을 열어보니 test_pgsql 부분이 딱!!


주석처리하고 bundle update를 하니 잘 넘어간다.

'지식창고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pidjson , jsoncpp 테스트  (0) 2013.06.25
iview 설치 - cyberoam, syslog, centos 5  (0) 2013.06.21
크롬 마우스 제스처 확장  (0) 2013.04.29
redmine 업그레이드  (0) 2012.10.31
VMware Player 5.0 업그레이드  (0) 2012.08.24
Recognize It for Chrome


사용해본 제스처 확장중에서는 가장 마음에 든다.



부트캠프 4.0은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했는데


Lion 이라서 그런건지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드라이버 삭제를 해도 마찬가지.


검색을 해서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주고 나서야 겨우 설치가 가능했다.


부트캠프 홈페이지


Boot Camp 지원 소프트웨어 5.0.5033



구글이 Keep이란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한다.


나오면 이용할 것인가?


한때 비슷한 과거 서비스로 구글 노트가 있었다. 비교적 유용하게 잘 쓰고 있었으나 좀더 편한 스프링노트를 사용하게 되었었다. 그러나 현재는 두서비스 모두 종료되었다.


다른 회사라면 한번 써볼 생각을 했겠지만.


구글 리더를 접어버린 구글은 이제 더이상 신뢰할 수 없는 기업이다.










갤럭시나 옵티머스는 전화올때 홈버튼을 눌러서 수신하는 기능이 있다.

 -기종에 따라서 없는게 있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운전중에 밀어서 전화받기를 한손으로 못해서 핸들에서 손을 떼신다는 어르신이 있다는 주변 지인때문에 전화 수신앱을 찾다보니 갤럭시나 옵티머스는 기본 기능으로 들어있다는것이다.

요새처럼 추운날 장갑을 벗지 않고 전화수신이 가능하다는 뜻인데
하드웨어 버튼이 없는 베가 시리즈는 그런점이 좀 아쉽다.

아이폰은 혹시나 되는가 해서 물어보고, 검색해봤는데 안되는가보다.

게다가 전화올때 밀어서 전화받기 기능이 간혹 안되서 전화를 못받았다는 문제점이 검색된다.

수신거부는 홀드 버튼으로 되게 해놨으면...가능할것도 같은데...

현재 사용하는 갤럭시2 HD LTE로 바꾸고 제일 불편했던점의 하나는 하드웨어 카메라 키가 없는 것이였다.


쓰다가 없어지면 이게 은근히 불편할때가 많다.



집에 노트북은 싱글코어 셀러론이다.


연휴때 사야할게 있어서 CJMall에 로그인을 했는데 너무 느린것이다.


작업관리자를 보니 CPU는 100%...


처음에는 자바스크립트 코딩을 잘못해놔서 그런것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출근해서 듀얼코어에서 살펴보니 30~50% 점유 하고 있다. 

캡쳐 화면은 메모리 1G, XP

win7 x64 4G 시스템에서는 30% 이하의 점유율 보여준다.




8코어인 업무용 노트북에서 보니 3~5% 점유율이다.




코딩을 잘못한게 아니라 집에 노트북이 구형이란 뜻이다. 잘못 짠거면 고사양에서도 CPU점유율이 높아야 할테니 말이다.


일반적인 서핑 용도로는 좀 느린것 빼고는 부족함이 없는 노트북인데 이런데서 저사양의 아픔을 느끼다니...


그렇다고 쇼핑몰 사이트에서 구형 시스템을 위해서 프로그램을 수정하라고 할 수는 없을것이다. 느리고 메모리가 많지 않는 시스템의 대상으로 웹페이지를 만드는일은 고역일테니 말이다.


주머니는 빈약해지고 질러야할 지름목록은 나날이 늘어간다.

VHD생성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MS에서 제공하는 WIM2VHD 스크립트윈도우8 전용으로 파워쉘 스크립트로 새로 만들었다고 하는군요.


http://gallery.technet.microsoft.com/scriptcenter/Convert-WindowsImageps1-0fe23a8f


스크립트의 사용방법은 위의 링크 아래쪽에 예제들이 있는데


예제 첫번째것이 눈에 딱 들어오는군요.

.\Convert-WindowsImage.ps1 -ShowUI

1. 시작화면에서 오른쪽클릭 ->앱 모두 보기

2. Windows PowerShell 아이콘 오른쪽 클릭->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3. 파워쉘 창이 실행되면 다운받은 스크립트가 있는 경로로 이동

4. C를 입력하고 탭을 누르세요. Convert...다 입력하지마시구요. -ShowUI 파라메타를 입력하고

    엔터빵!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UI가 실행됩니다.



친절하게 숫자가 붙어 있네요

1. source는 ISO, WIN 둘다 지원합니다.

2. 통합이미지중 어떤것을 선택할것인지 지정합니다.

3. VHD, VHDX 둘다 지원하며 VHD Name이 옵션인것이 보이시지요. 알아서 GUID생성합니다.

    이름을 지정하실때는 확장자를 맞춰주시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unattend file이 있는것으로 보아 자동화가 가능할것같은데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4. Make myVHD를 눌러주시면 ISO 파일은 알아서 마운트 시키고 VHD도 알아서 생성해서 자동으로 쭉쭉 진행합니다.

 .......

이러한 스크립트 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권한을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아무 스크립트나 막 실행되서는 안되니까요.

관리자로 파워쉘을 열고 맨처음 한번만 해주시면 됩니다.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자세한 설명은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hh847748.aspx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REST SDK  (0) 2013.08.29
그누보드 설치 오류 대처 방법  (0) 2013.06.17
스프링노트 백업 방법  (2) 2012.10.10
소니 아크 업데이트 방법  (0) 2012.06.04
VC URLEncode 함수  (0) 201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