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링해봤는데 딱히 방법이 보이지 않았는데 구세주를 만났다.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14127/How-to-call-an-Oracle-Stored-Procedure-that-return


컨넥션 스트링에 PLSQLRSet=1;이게 답이였다.


Provider=OraOLEDB.Oracle;PLSQLRSet=1;Data Source=XXX


기존에 MS-SQL로 개발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저부분만 수정했더니 잘 동작했다.


물론 자동으로 마이그레이션 해준 프로시져를 약간 손보긴 했지만  잘 돌아간다.

Oracle SQL Developer만세!!!



http://www.oracle.com/webfolder/technetwork/tutorials/obe/db/sqldev/r30/SQLServerMigration/SQLServerMigration.htm


테이블, 프로시저 모두 깔끔하게 변환되어 마이그레이션 된다.


일부 프로시저에서 트랜젝션 관련 함수및 case구문등 에러가 발생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정도면 아주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



맥에서 이클립스에 subclipse를 설치 했더니 경고창이 하나 뜬다.


실행에는 지장이 없지만 거슬린다.


해결책을 구글링해보니 설치 하면 된단다.


http://subclipse.tigris.org/wiki/JavaHL#head-5bf26515097c3231c1b04dfdb22c036bc511926b


brew를 사용중이였으므로 설치


한참 다운받고 컴파일 하던중 에러..



뭐지? 다시 구글링


https://github.com/Homebrew/homebrew/issues/31858


/usr에 가보니 include가 없다.


하라는대로 

xcode-select --install

재실행하니 잘 설치가 완료 된다. svn의 버전도 1.8로 올라간다.

ps. 이클립스 실행 시키니 에러가 뜬다.


터미널 창을 자세히 보니


svntools have been installed to:
/usr/local/opt/subversion/libexec

You may need to link the Java bindings into the Java Extensions folder:
sudo mkdir -p /Library/Java/Extensions
sudo ln -s /usr/local/lib/libsvnjavahl-1.dylib /Library/Java/Extensions/libsvnjavahl-1.dylib


Bash completion has been installed to:
/usr/local/etc/bash_completion.d

다시 이클립스를 켜니 잘 된다.


.bash_profile에 경로 추가 하고 svn --version 으로 버전 확인!


export PATH=/usr/local/bin:${PATH}

결론 : 결과값은 resultMap으로 받을 수 없다.


mapper.xml

<select id="getNumber" statementType="CALLABLE" parameterType="hashmap">
        { #{Result, mode=OUT, jdbcType=INTEGER, javaType=int} = call getNumber
            (
                #{NumKey, mode=IN, jdbcType=VARCHAR, javaType=String},
                #{Count, mode=IN, jdbcType=INTEGER, javaType=int},
                #{GetNumber, mode=OUT, jdbcType=INTEGER, javaType=int }
            )
        }
</select>

결과값(output)은 파라메터로 넘긴 map에 담겨서 넘어오며 return은 null로 넘어온다.


'지식창고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 컬러테마 문제  (0) 2014.11.26
Sparkjava 와 Gradle 그리고 배포  (0) 2014.09.29
자바 EUC-KR, UTF-8 파일 둘다 읽는 방법  (0) 2014.08.12
Java Resize Library Test  (0) 2014.08.09
eclipse aptana git 문제  (0) 2014.05.29

VisualAssist를 사용중이라 에디터창 상단에 네비게이션바가 중첩되어서 안보이게 할 방법을 찾다가 못찾았는데 


네비게이션바가 두개가 딱!



오늘 라이센스 리뉴얼해서 새로 설치 하고 옵션 살펴 보다 보니


Display VA Navigation Bar


전에는 마땅한 검색어를 못찾았는데 'visual studio navigation bar' 검색을 하니 설정 링크가 나왔다.


http://blogs.msdn.com/b/zainnab/archive/2010/06/05/remove-the-navigation-bar-vstiptool0028.aspx


문제는


Tools -> Options -> Text Editor -> [Your Language] and deselecting the "Navigation bar" checkbox:


이게 어디냐는건데..


한참 찾아보다가 찾았다 "탐색 모음"  



http://khacademy.96.lt/wp/java/java-character-set의-이해


오늘 하루종일 삽질 하면서 테스트한 결과를 요약 하자면 다음과 같다.

위의 링크의 블로그의 코드가 큰 도움이 되었다.

  • String에 저장되는 코드는 유니코드이다.
  • 이 유니코드를 다른 코드로 내보낼때 사용하는것이 .getByte("EUC-KR") 같은 코드이다.
  • 만약 이클립스 인코딩이 UTF-8인경우 FileInputStream으로 EUC-KR을 읽어서 String으로 바로 저장을 하게되면 EUC-KR의 코드를 UTF-8로 생각하여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되므로 이 데이터는 다른 코드로 변환이 불가능해진다.
  • 각기 다른 인코딩의 파일을 읽어야 한다면 byte 배열로 읽어들인 이후에 인코딩을 지정해야만 한다.


public class FileRea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InputStream으로 읽기");
        System.out.println(new String(readFile2("utf8.txt")));
        System.out.println("utf8.txt -- 읽기완료");

        System.out.println(new String(readFile2("ansi.txt")));
        System.out.println("ansi.txt -- 읽기완료");

        try {
            System.out.println(new String(readFile2("ansi.txt"),"euc-kr"));
        } catch (UnsupportedEncoding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System.out.println("ansi.txt -- 읽기완료");
    }

   public static byte[] readFile2(String fileName){
        FileInputStream fis=null;
        byte[] data = null;
        try {
            fis = new FileInputStream(fileName);
            data = new byte[fis.available()];
            fis.read(data);
        } catch (FileNotFoun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try{
                if(fis!=null) fis.close();
            }catch(IOException e){ ; }
        }
        return data;
    }

}


'지식창고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 컬러테마 문제  (0) 2014.11.26
Sparkjava 와 Gradle 그리고 배포  (0) 2014.09.29
mybatis procedure 삽질  (0) 2014.08.28
Java Resize Library Test  (0) 2014.08.09
eclipse aptana git 문제  (0) 2014.05.29
  1. thumbnailator
    https://code.google.com/p/thumbnailator/
    코드 간결
    품질 중, 속도 하
  2. imgscalr
    http://www.thebuzzmedia.com/software/imgscalr-java-image-scaling-library/
    BufferdImage사용 코딩
    품질 하, 속도 중
  3. java-image-scaling
    https://code.google.com/p/java-image-scaling/
    BufferdImage 사용 코딩
    품질 상, 속도 상


java-image-scaling의 코드를 사용한 ImageUtil 클래스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을것 같다.



'지식창고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 컬러테마 문제  (0) 2014.11.26
Sparkjava 와 Gradle 그리고 배포  (0) 2014.09.29
mybatis procedure 삽질  (0) 2014.08.28
자바 EUC-KR, UTF-8 파일 둘다 읽는 방법  (0) 2014.08.12
eclipse aptana git 문제  (0) 2014.05.29

docker란게 있다더라

가상화 시스템인데 빠르다더라

..

도커(Docker) 튜토리얼 : 깐 김에 배포까지 를 읽어만 보고 대략 감만 잡아 둔 상태였다.


그래서? 이걸 어디다 어떻게 써먹는다는거지?


나중에 다시 봐야지 하고 넘겨놨었는데

오늘 Docker를 이용한 Jenkins 설치를 보고 나서 내가 docker에 대해서 완전히 잘못 알고 있다는걸 깨달았다.


그리고나서 다시 도커 튜토리얼 링크를 보니...이미 언급이 되어 있네?


다시 한번 느낀다..열번 읽어보는것 보단 한번 타이핑 하는것이 좋다..


전에 Jenkins를 한번 설치 해본적이 있었는데 이방법은 확실히 편하다.



'지식창고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lab을 docker로 운영하기  (0) 2015.09.21
우분투에 아파치 설정 하기  (2) 2015.06.02
CentOS 7.0 에서 Yobi 설치  (0) 2014.07.25
CentOS 7.0 LAMP 설치  (0) 2014.07.24
CentOS 7 최소 설치 당황스러운점  (1) 2014.07.10

참고 링크

https://github.com/naver/yobi


http://www.playframework.com/documentation/2.0/Installing


root 홈계정에서 설치 시작

wget http://downloads.typesafe.com/play/2.1.0/play-2.1.0.zip

unzip play-2.1.0.zip

mv play-2.1.0 /usr/local/play


vim .bashrc

export PATH=$PATH:/usr/local/play


source ~/.bashrc


yobi는 /home/yobi로 설치

cd /home

git clone https://github.com/naver/yobi.git

cd yobi
play

기다리면 콘솔이 뜬다

start -DapplyEvolutions.default=true -Dhttp.port=9000

한참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Starting server. Type Ctrl+D to exit logs, the server will remain in background

이 메시지가 보이면 준비완료!


방화벽에서 포트를 열어주고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9000/tcp

firewall-cmd --reload


접속 하면 설정 화면이 보인다.



그리고 마주치는 멘붕 페이지...어쩌라고????????????

당황하지 않고 터미널로 돌아가 Ctrl+D를 살포시 누르고

play stop

play start

서버 재시작 완료!


다시 Ctrl+D를 누르라는 메시지가 보이면 눌러주고 브라우저에서 새로 고침을 한다.


Yobi 설치끝!!


아무나 들어오면 안되니까


yobi/conf/application.conf

#if you want to use sign-up confirm, uncomment below
signup.require.confirm = true

e-mail 발송 할 수 있도록 메일 서버 설정

smtp.user = "UserID"

smtp.password = "passwd"

# false로 해야 실제 메일 발송이 된다.
smtp.mock = false

꼭 "" 으로 묶어준다. 안해주면 삽질함

다시 서버 재시작


이제 아파치와 proxy 연동을 해보자 mod_proxy.so는 기본적으로 올라오니 안써도 된다.


http://www.playframework.com/documentation/2.3.x/HTTPServer


/etc/httpd/conf.d/yobi.conf


<VirtualHost *:80>
  ProxyPreserveHost On
  #ServerName localhost
  ProxyPass  /excluded !
  ProxyPass / http://127.0.0.1:9000/
  ProxyPassReverse / http://127.0.0.1:9000/
</VirtualHost>

9000 포트 80 포트 둘다 접속 된다.


그런데 나는 /redmine 의 경로로 redmine을 운영하므로 yobi는 /yobi로 하고 싶다.


yobi.conf 파일은 삭제 하고 redmine의 설정인 passenger.conf에 proxy 설정을 추가한다.

<VirtualHost *:80>
    ServerName 127.0.0.1
    DocumentRoot /var/www/html
    RailsBaseURI  /redmine
    <Directory /var/www/html>
        Options FollowSymLinks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ProxyPreserveHost On
    ProxyPass  /excluded !
    ProxyPass /yobi http://127.0.0.1:9000/yobi
    ProxyPassReverse /yobi http://127.0.0.1:9000/yobi
</VirtualHost>

각각의 경로로 접속은 되나 yobi쪽 리소스가 깨진다. 이건 어떻게 해야 할지 찾아봐야겠다.

관련 이슈 : #498, #752


yobi/conf/application.conf

75번째 줄 #Server 항목 적당한 위치

application.context="/yobi"

redmine, yobi 둘다 잘 동작한다.


하지만 저장소 URL은 yobi가 붙지 않는 문제가 아직 있다.

해결 방법이 올라오면 수정 예정( 버그사항이라 수정예정이라고 함)

0.60 에서 해당 이슈 수정

'지식창고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 아파치 설정 하기  (2) 2015.06.02
docker에 대한 오해와 이해  (0) 2014.07.28
CentOS 7.0 LAMP 설치  (0) 2014.07.24
CentOS 7 최소 설치 당황스러운점  (1) 2014.07.10
CentOS 6.5 + Jetty 9.1.1 + Solr 4.5.1  (1) 2014.02.11

http://www.tecmint.com/install-lamp-in-centos-7/


문서대로 설치 하면 깔끔하게 설치 됩니다.


아파치는 2.4

PHP는 5.4

DB는 MariaDB 5.5 가 설치 되는군요.


phpmyadmin의 경우 fail2ban을 설치 하려고 epel 저장소를 추가해놨는데 거기에 있네요.


설치는 똑같이 yum install phpmyadmin으로 하고


vim /etc/httpd/conf.d/phpMyAdmin.conf


설정파일에 아파치 2.4 와 2.2용 설정이 둘다 들어 있습니다.

접속할 IP 대역을 지정해야 외부에서 접속이 됩니다.

Alias /phpMyAdmin /usr/share/phpMyAdmin
Alias /phpmyadmin /usr/share/phpMyAdmin

<Directory /usr/share/phpMyAdmin/>
   <IfModule mod_authz_core.c>
     # Apache 2.4
     <RequireAny>
       Require ip 127.0.0.1 192.168.0.0/24
       Require ip ::1
     </RequireAny>
   </IfModule>
   <IfModule !mod_authz_core.c>
     # Apache 2.2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127.0.0.1
     Allow from ::1
   </IfModule>
</Directory>

<Directory /usr/share/phpMyAdmin/setup/>
   <IfModule mod_authz_core.c>
     # Apache 2.4
     <RequireAny>
       Require ip 127.0.0.1 192.168.0.1
       Require ip ::1
     </RequireAny>
   </IfModule>
   <IfModule !mod_authz_core.c>
     # Apache 2.2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127.0.0.1
     Allow from ::1
   </IfModule>
</Directory>

아파치 서비스 재기동을 하고

systemctl restart httpd


http://URL/phpmyadmin/setup/

환경 설정해주고 


http://URL/phpmyadmin/

접속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