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4.0은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했는데


Lion 이라서 그런건지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드라이버 삭제를 해도 마찬가지.


검색을 해서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주고 나서야 겨우 설치가 가능했다.


부트캠프 홈페이지


Boot Camp 지원 소프트웨어 5.0.5033



VHD생성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MS에서 제공하는 WIM2VHD 스크립트윈도우8 전용으로 파워쉘 스크립트로 새로 만들었다고 하는군요.


http://gallery.technet.microsoft.com/scriptcenter/Convert-WindowsImageps1-0fe23a8f


스크립트의 사용방법은 위의 링크 아래쪽에 예제들이 있는데


예제 첫번째것이 눈에 딱 들어오는군요.

.\Convert-WindowsImage.ps1 -ShowUI

1. 시작화면에서 오른쪽클릭 ->앱 모두 보기

2. Windows PowerShell 아이콘 오른쪽 클릭->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3. 파워쉘 창이 실행되면 다운받은 스크립트가 있는 경로로 이동

4. C를 입력하고 탭을 누르세요. Convert...다 입력하지마시구요. -ShowUI 파라메타를 입력하고

    엔터빵!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UI가 실행됩니다.



친절하게 숫자가 붙어 있네요

1. source는 ISO, WIN 둘다 지원합니다.

2. 통합이미지중 어떤것을 선택할것인지 지정합니다.

3. VHD, VHDX 둘다 지원하며 VHD Name이 옵션인것이 보이시지요. 알아서 GUID생성합니다.

    이름을 지정하실때는 확장자를 맞춰주시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unattend file이 있는것으로 보아 자동화가 가능할것같은데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4. Make myVHD를 눌러주시면 ISO 파일은 알아서 마운트 시키고 VHD도 알아서 생성해서 자동으로 쭉쭉 진행합니다.

 .......

이러한 스크립트 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권한을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아무 스크립트나 막 실행되서는 안되니까요.

관리자로 파워쉘을 열고 맨처음 한번만 해주시면 됩니다.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자세한 설명은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hh847748.aspx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REST SDK  (0) 2013.08.29
그누보드 설치 오류 대처 방법  (0) 2013.06.17
스프링노트 백업 방법  (2) 2012.10.10
소니 아크 업데이트 방법  (0) 2012.06.04
VC URLEncode 함수  (0) 2012.01.16

사용하던 redmine의 버전이 1.2* 였는데 2.1.2 버전까지 버전이 올라서 업그레이드 하기로 결정!!

안해도 사용상 문제는 없었지만 너무 버전차이가 나면 나중에 업그레이드가 곤란해질 수도 있을 수도 있으니까.


*설치 조건 확인!


http://www.redmine.org/projects/redmine/wiki/RedmineInstall


 ruby 1.8.6 이 설치 되어 있었는데 1.8.7이 필요했다. CentOS 는 여전히 기본 1.8.5로만 배포중.. 게다가 1.8.6을 설치했던 저장소는 없어졌는지 에러 발생


 기존 설치본부터 삭제 하고 1.8.7을 설치할 방법을 찾아보니..컴파일을 하는것말고 rv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걸 해보려고 했으나 무엇이 문제인지 설치 불가..


1.8.7을 제공하는곳을 추가하고 설치


http://centos.karan.org/el5/ruby187/


cd /etc/yum.repos.d/

wget http://centos.karan.org/el5/ruby187/kbs-el5-ruby187.repo


yum install ruby


rubygem 은 1.3.7이 설치되어 있으나 업그레이드 하는김에 1.8.24로 업그레이드


wget http://rubyforge.org/frs/download.php/76073/rubygems-1.8.24.tgz
tar xvfz rubygems-1.8.24.tgz
cd rubygems-1.8.24
ruby setup.rb
gem -v


bundle 설치


gem install bundler


* 본격적인 업그레이드 시작

http://www.redmine.org/projects/redmine/wiki/RedmineUpgrade


현재 사용중인 버전도 svn에서 직접받은것이라서 redmine 설치 경로로 이동

svn update


필요한 의존성 설치 - MySQL 을 사용중이므로 다른 DB 는 제외

bundle install --without development test postgresql sqlite


ImageMagic 에 대한 문제 발생하여 기존 설치된것을 제거하고,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서 설치

wget http://www.imagemagick.org/download/linux/CentOS/i386/ImageMagick-6.8.0-3.i386.rpm
wget http://www.imagemagick.org/download/linux/CentOS/i386/ImageMagick-devel-6.8.0-3.i386.rpm

rpm -Uvh ImageMagick-6.8.0-3.i386.rpm
rpm -Uvh ImageMagick-devel-6.8.0-3.i386.rpm

http://www.imagemagick.org/script/binary-releases.php

위의 링크가 동작 하지 않으면 마지막 버전을 확인


다시 bundle install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완료!

* 마이그레이션

rake db:migrate RAILS_ENV=production

사용하지 않는 rb파일에 대해서 에러문구대로 처리 하고 다시 실행시키니 마이그레이션 진행

* Clean Up
rake tmp:cache:clear
rake tmp:sessions:clear

service httpd restart


완료!!


관리자로 로그인해서 역활및 권한 부분에 추가되거나 변경된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설정



산사자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 라이언 사용중이다.


업무용 맥북이다보니 업그레이드 비용때문인데..암튼..


라이언으로 깔려나온걸 산게 아니라서 사용중인 부트캠프가 3.3 버전이였다.


라이언업그레이드 하고서 4.0이 나온건 알았는데 어찌해볼 방법이 없었다.


windows 8 이 부트캠프로 잘 설치되는지 알아보다가 보니 부트캠프 3.* 에서 4.0 으로 업그레이드가 된다고 한다


예. Boot Camp 설정 지원을 사용하여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드라이버) CD 또는 USB 저장소 미디어를 만들어 Boot Camp 4.0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분명 이게 안되었던것 같은데 맥OS 패치과정에서 업그레이드가 된것인지, 아니면 원래 되는건데 내가잘 몰랐던것인지...정확하지는 않지만


부트캠프 지원을 실행시켜보니 버전이 다운로드되었고 CD로 구울 수 있게 되었다.


굽고나서 윈도우로 부팅해서 셋업을 진행하자  4.0으로 자연스럽게 변경되었다.




아...체감상 달라진건 없다....ㅡ.ㅡ;;;

스프링노트가 서비스 중지하면서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해주기로했는데


백업데이터를 받아보니..어이가 없다.


본문 XHTML 보는 메뉴 페이지에서 css와 이미지를 제거하면 그게 백업데이터와 동일하다.


휑하니 아무것도 없이 덜렁 텍스트만 있다.


css적용해주는게 어렵나?


메인페이지 하나 프레임으로 잡고 클릭하면 내용보이게끔 백업받아주는게 그렇게 어렵나?


안해주면 직접 백업하면된다.


파이어폭스에서 애드온인  scrapbook을 이용하면 백업이 편리하다.



페이지 저장을 하면 현재 보이는 페이지만 달랑 백업한다. 이렇게 각각 스프링노트의 페이지를 모두 열고 하나씩 백업하는 방법이 있다.


나는 귀찮니스트이므로 한방에 백업받는다. 다른이름으로 페이지 저장


옵션 다이얼로그가 뜨는데 백업받을 내용을 선택해주고 연결 링크 단계는 2나 3을 선택하면


다운받는 창이 뜨는데 그냥놔두면 링크걸린건 죄다 받으니 도메인을 자신의 스프링노트로 제한하고 받으면 깔끔하게 백업이된다.


잘되었는지 보려면 스프링노트를 로그아웃하고 백업 받은 데이터를 클릭해보면서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출근후 부팅을 하고 평소대로 vmplayer를 실행시키니 새버전이 나왔다고 한다.


다운로드 받고 업그레이드를 하니


상업적인 사용은 정품을 사라고 뜬다.


다른걸 알아봐야하나...정품 구입해달라고 해야하나..


일단 다시 다운그레이드..





라이센스 사항을 살펴보는중인데 이런게 보인다.  VMWare Fusion이 있으면 사용이 가능할것같다.

다행이 라이센스가 있다. :)


http://www.vmware.com/products/player/faqs.html


What does it cost?
VMware Player is free for personal non-commercial use. VMware Player is available for commercial use as part of VMware Fusion Professional . VMware Fusion Professional provides a commercial license that can be used with VMware Fusion on the Mac or with VMware Player on Windows or Linux. VMware Support and Subscription offerings are available for VMware Fusion Professional.

Is Support and Subscription available for commercial use of VMware Player?
Yes, if you purchase a minimum of 10 license of VMware Fusion Professional. VMware Fusion Professional includes a commercial license for VMware Player.


이전버전에서는 설치 하면서 재부팅과정이 있었는데 5.0에서는 이부분이 개선되었다.

안드로이드 폰에서 사용해본 스트리밍 음악 앱에 대한 소감입니다.


올레뮤직


사용해본 앱중에선 제일 괜찮았습니다.  사용하면서 별로 불편한점이 없었어요.

지금은 유료사용기간이 지나서 잠시 사용안하고 있는데 무료이벤트로 사용중인 다음뮤직이 끝나면 재결재 할까 생각중입니다.



지니(팩)


KT가입하면서 부가서비스로 지니팩을 한달 사용해봤는데......UI가 너무 불편해서  데이타 이용료가 포함되어 있다는점을 제외하면 사용하기 너무 불편함 툭하면 음악 정지됨


혹시나 지니팩 말고 지니 앱은 좀 나을가 했는데 별반 다를것 없음.


다음뮤직


무료 한달 이벤트 중이라 현재 사용해보는 중인데..네이티브앱인줄 알았는데 하이브리드앱이구나..라고 어제느꼈습니다.

음악들으면서 보트 브라우저로 서핑중이였는데 새창 뜨면 음악이 정지되요. ㅡ.ㅡ;;


뮤직앱이라기보단 뮤직 포탈의 느낌이 강한편이네요.



멜론도 괜찮다고는 하는데  SKT쪽의 앱들은 이상하게 정이 안가요..

'지식창고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시스템 배터리 문제  (1) 2015.09.01
구글 Play 북으로 epub보는 방법  (0) 2015.07.16
카드 사용 관리 앱  (0) 2012.07.17

제가 현재 사용하는 두가지 앱입니다.


http://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plusu.cherrypicker


체리피커 앱


카드 사용하면 결재 문자가 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사용금액을 합산해줍니다.



http://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kt.skaf.OA00026910


스마트 월렛


SKT 아니여도 사용가능 합니다.


이앱안에 내장된 '가계부' 앱이  카드 집계가 가능합니다.


카드사에 로그인해서 정보를 읽어와서 보여줍니다.




추가적으로


통신사 월렛만 사용해봤는데  KT 마이월렛은 .....별로 좋지 않네요


SKT의 스마트 월렛은 쓸만 합니다. 보통 배터리 절약을 위해서 화면 밝기는 낮춰놓을텐데

이러면 바코드 리더기가 인식하기 어렵죠.


스마트 월렛은 바코드 화면에서 알아서 밝기를 높여줍니다.



리눅스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심볼릭 링크의 기능을 윈도우7 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GUI프로그램이다.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창을 열고


mklink 를 사용해서 심볼링크를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이 있다.


http://schinagl.priv.at/nt/hardlinkshellext/hardlinkshellext.html


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면 팝업메뉴가 추가되고


고른다음 떨구면 된다. 아주 편리하다.


그림으로 잘 설명되어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아내가 사용하던 피쳐폰이 노후하여 오늘내일 하는데 SKT에서 저렴하게 보상기변 조건이 나와서 교체를 해주고


간단한 셋팅을 해주다보니 펌웨어 업데이트가 있다고 해서


까짓거 PC용 프로그램 설치하고 업데이트 하면 되지........하다가 삽질엄청 하고 결과물을 올립니다.


  • 미디어 플레이어를 설치 합니다.
    • 이미 설치가 되어 있는경우에는 재설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그러나 USB에 아크를 연결했는데 드라이버 오류가 발생한다면 재설치를 해야 합니다.
  • PC 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 처음에는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 찾아서 설치를 했었는데 그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환경설정 제일 상단 메뉴로 들어갑니다.

그다음 연결 항목으로 들어 갑니다.



PC Companion설치를 체크 합니다.  이 기능은 아주 좋더군요. 프로그램 찾아 헤메지 않아도 됩니다.



USB연결 모드는 미디어 전송 모드 입니다.


이렇게 설정하고 USB로 PC와 연결하면 PC용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최신 업데이트를 찾아서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아크를 재부팅 시키면 되는데 이때 시간이 좀 오래 걸립니다.